맨위로가기

후진 (오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진은 936년 사타족 출신 석경당이 건국한 오대 십국 시대의 국가이다. 석경당은 후당의 멸망 후, 거란의 지원을 받아 황제가 되었으나, 연운 16주를 할양하고 매년 비단을 바치는 등 굴욕적인 외교를 펼쳤다. 석경당 사후 그의 조카 석중귀가 요나라에 반항하면서 947년 요나라에 의해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진 (오대) - 사타부
    사타부는 7세기부터 10세기 중국 북부에 존재한 튀르크계 민족으로, 당나라에 귀순 후 오대 십국 시대에 여러 왕조를 세웠으나 송나라 시대에 쇠퇴하였고 정령 숭배, 점술, 불교 등의 종교적 영향을 받았다.
  • 사타부 - 후당
    후당은 923년 이존욱이 건국한 오대 십국 시대의 국가이며, 당나라의 계승을 자처하며 북부를 점령했으나 반란으로 멸망하고, 거란의 침입으로 937년에 멸망하였다.
  • 사타부 - 진 (오대 십국)
    오대십국시대, 이극용과 이존욱이 당나라 계승을 주장하며 세운 진(晉)은 산서성 대부분과 황하 이북 지역을 장악하고 후량 멸망 후 후당 건국에 이르렀으며, 주변국들과 복잡한 외교 관계를 맺었다.
  • 튀르크계 국가 - 히바 칸국
    히바 칸국은 16세기 초에 건국되어 1920년까지 존속한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크 칸국으로, 초기 혼란과 수도 이전, 러시아 제국의 보호국 시기를 거쳐 소비에트 혁명으로 붕괴되었으며, 농업 기반 경제와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튀르크계 국가 - 무굴 제국
    무굴 제국은 16세기 초 바부르가 건국하여 1857년 영국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인도 아대륙을 지배했던 제국으로, 악바르 대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아우랑제브 시대 이후 쇠퇴하여 멸망하였으며, 페르시아 문화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문화를 꽃피웠다.
후진 (오대)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후진
후진
정식 명칭
통칭후진
시대오대십국 시대
위치중국
수도타이위안 (936년)
뤄양 (937년)
카이펑 (937년–947년)
공용어중국어
종교불교
도교
유교
중국 민간 신앙
통화중국 고대 화폐
정치
정치 체제군주제
건국사건: 석경당이 요나라에 의해 황제로 옹립
날짜: 936년 11월 28일
멸망사건: 출제의 요나라 항복
날짜: 947년 1월 11일
역대 황제
초대 황제이름: 석경당 (고조)
재위 기간: 936년–942년
마지막 황제이름: 석중귀 (출제)
재위 기간: 942년–947년
역사
이전 국가후당
이후 국가후한
요나라
기타 정보
현재 국가중국

2. 역사

후진의 건국자 석경당은 사타족 출신 무장으로 후당의 공신이었으나, 934년 후당 말제 이종가가 즉위한 후[15] 그와 불화하였다. 말제가 석경당을 견제하여 다른 지역으로 전출시키려 하자, 석경당은 936년 자신이 주둔하던 진양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말제가 보낸 토벌군에 의해 위기에 몰린 석경당은 북쪽의 거란(요나라)에 원군을 요청하였고, 거란의 황제 야율요골은 직접 군대를 이끌고 와 후당군을 격파했다.[17] 같은 해 11월, 석경당은 야율요골에 의해 황제로 추대되어 후진을 건국하고(고조)[9], 거란의 힘을 빌려 937년 초 후당을 멸망시켰다.[15]

건국의 대가로 석경당은 거란에 연운십육주를 할양하고 매년 막대한 양의 비단을 바쳤으며, 거란 황제에게 신하의 예를 갖추는 등 굴욕적인 외교 관계를 맺었다.[20] 이는 후진 정권의 정통성을 약화시키고 내부적인 반발을 사는 요인이 되었다.[13] 건국 초기에는 후량과 달리 당나라 부활을 표방하며 낙양을 수도로 삼았으나[21], 경제적 필요에 따라 937년 4월 개봉으로 천도하였다.[13] 또한, 당나라 귀족 후예 대신 신흥 문관을 재상으로 기용하고 추밀사를 겸임시켜 정권을 담당하게 함으로써 황제권 강화를 시도했다. 이는 북송대 황제 독재 체제의 기반이 되는 변화였다.[13]

942년 석경당이 사망하자, 그의 유언과 달리 조카 석중귀(소제)가 재상 풍도와 경연광 등에 의해 옹립되었다.[23] 대(對)요나라 강경파였던 경연광이 실권을 잡고 세폐 중단 등 강경책을 추진하자 요나라와의 관계는 급격히 악화되었다.[24] 결국 944년945년 요나라의 침공을 받았으며, 947년 요나라 태종 야율요골이 직접 군대를 이끌고 침공하자 후진의 장수 두중위가 항복하면서 수도 개봉이 함락되었다. 석중귀는 요나라로 끌려가면서 후진은 건국 11년 만에 멸망하였다.[25]

요나라는 후진을 멸망시키고 화북 지역 지배를 시도했으나 내부 반발과 한족의 저항으로 철수했다.[25] 후진 멸망 당시 하동절도사였던 유지원은 사태를 관망하다가[10], 요나라 군대가 철수한 후인 947년 2월 진양에서 황제로 즉위하여 후한을 건국하였다.[26]

2. 1. 건국 배경

후진의 건국자 석경당은 사타족 출신의 무장으로, 후당의 개국 공신이었다. 후당의 황제 이존욱(장종)과 이사원(명종)을 섬기며 여러 차례 후당을 위기에서 구해 능력을 인정받았다. 특히 명종 이사원은 석경당을 아껴 자신의 딸과 결혼시켰다. 명종 대에 석경당은 하동절도사가 되어 진양을 중심으로 한 하동 지역의 최고 사령관이 되었으며, 이곳에서 쌓은 정치적 실적과 청렴한 생활로 백성들의 칭송을 받았다.

933년 11월, 명종 이사원이 병사하자 그의 아들 민제가 즉위했으나, 934년 4월 명종의 양자 이종가(말제)가 민제를 시해하고 황제 자리에 올랐다.[15] 말제 이종가는 명종의 사위이자 강력한 군사력을 보유한 석경당과 사이가 좋지 않았고[16], 그를 경계했다.[17] 말제는 거란의 남침이 격화되자 진양 방면의 병력 증강이 필요했음에도, 석경당의 군사력이 커지는 것을 우려하여 그를 천평군 절도사로 전출시키려 했다. 이에 반발한 석경당은 936년 자신이 주둔하던 진양에서 후당에 대해 반란을 일으켰다.

말제가 토벌을 위해 대군을 보내자, 석경당은 군사적 열세를 느끼고 북쪽의 거란(요나라)에 도움을 요청했다. 거란의 황제 야율요골(요 태종)은 직접 군대를 이끌고 와 후당의 토벌군을 격파했고, 936년 9월 진양의 포위가 풀렸다.[17] 같은 해 11월, 석경당은 진양에서 야율요골에 의해 황제로 추대되어 제위에 오르고(고조) 국호를 (晉, 후세의 다른 진(晉) 왕조와 구분하기 위해 후진이라 부른다)으로 정했다.[9] 이후 거란의 힘을 빌려 후당을 멸망시켰다.[15]

석경당은 거란의 원군을 얻는 대가로 상당한 양보를 해야 했다. 국경 지역인 연운십육주(유주(현재의 베이징시), 대주(현재의 신주시) 등 만리장성 이남의 16개 주)를 거란에 넘겨주었으며, 매년 비단 30만 필을 조공으로 바치기로 약속했다. 또한, 거란 황제에게 자신을 아들이나 신하로 칭하며 예를 갖추었다.[20] 연운십육주의 할양은 이후 오대의 여러 왕조들과 뒤를 이은 송나라에게 큰 부담이 되었고, 이 지역의 탈환은 송나라 대까지 이루지 못한 오랜 숙원이 되었다.[19]

후진의 창건자 석경당은 부계 혈통이 한족이라고 주장했지만[1], 그의 성씨인 '석'(石)이 소그드인들이 주로 사용하던 중국 성씨라는 점[2][3][4] 등을 근거로 그의 기원을 중앙아시아계로 보는 시각도 있다. 후진은 북주, 수나라, 당나라 왕족의 후손들에게 공작의 작위를 내려 예우하는 이왕삼각(二王三恪) 정책을 시행하기도 했다.[5]

2. 2. 연운십육주 할양과 굴욕 외교

후당 명종 이사원의 사위이자 하동절도사였던 석경당은 명종 사후 즉위한 양자 말제 이종가와 사이가 좋지 않았다[15][16]。말제는 강대한 군사력을 가진 석경당을 경계하여[17] 그를 산둥 지역의 절도사로 전출시키려 했다. 이에 반발한 석경당은 936년 자신이 주둔하던 진양에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곧 말제가 보낸 토벌군에게 포위되었다.

궁지에 몰린 석경당은 북방의 거란(요나라)에 구원을 요청했다. 당시 거란을 이끌던 야율요골(요 태종)은 원군 파병의 대가로 막대한 조건을 요구했다. 석경당은 이를 받아들여 거란 황제를 아버지로 섬기고(신하로서 섬김), 매년 비단 30만 필을 조공으로 바치며, 만리장성 이남의 전략적 요충지인 연운십육주(燕雲十六州)를 할양하기로 약속했다[17][20]

연운십육주는 현재의 베이징과 허베이성, 산시성 북부 일대에 걸친 16개 주로, 폭이 약 112km에서 160km에 달하는 지역이었다. 이곳은 북방 유목민족의 침입을 막는 중요한 방어선이었기에, 이곳을 거란에 넘겨준 것은 중원 왕조의 안보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했다. 이후 오대의 여러 왕조와 송나라는 연운십육주 회복을 국가적 목표로 삼았으나, 송나라 대에는 완전한 탈환에 실패했다[19]

거란의 강력한 지원을 등에 업은 석경당은 후당 토벌군을 격파하고, 936년 11월 야율요골에 의해 황제로 추대되어 후진을 건국했다[9]。이후 거란과 연합하여 후당의 수도 뤄양을 공격해 937년 초 후당을 멸망시켰다[15]

그러나 건국의 대가로 치른 연운십육주 할양과 굴욕적인 대(對) 거란 외교는 후진 정권의 정통성과 자주성을 크게 훼손했다. 석경당은 거란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 저자세를 유지했지만, 이는 국내 절도사들의 강한 반발을 샀고, 이는 후진 정권의 불안정성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13]

2. 3. 내우외환과 멸망

후진은 건국 초기부터 내우외환으로 혼란을 겪었다. 건국 과정에서 거란(요나라)의 군사적 도움을 받은 대가로 석경당연운십육주를 할양하고 매년 비단 30만 필을 조공으로 바쳤으며, 요 태종에게 신하의 예를 갖추었다.[20] 이러한 굴욕적인 외교 관계는 후진이 요나라의 꼭두각시라는 비판을 받게 했으며, 국내적으로는 유력 절도사(번진)들의 반발을 샀다. 석경당이 요나라에 저자세로 일관하자 절도사들의 불만은 더욱 커져 통제하기 어려워졌다.[13]

942년 석경당이 사망하자, 그의 유언과는 달리 조카 석중귀가 재상 풍도와 천평군 절도사 경연광에 의해 황제로 옹립되었다.[23] 요나라와 상의 없이 진행된 이 옹립은 요나라의 분노를 샀다. 특히 대요 강경파였던 경연광이 재상과 중앙 군사령관직(시위친군마보군도지휘사)을 겸임하며 실권을 장악하고, 요나라에 대한 세폐 중단과 굴욕 외교 탈피를 시도하면서 양국 관계는 급격히 악화되었다.[24]

결국 944년 요나라가 후진을 침공하여 단주에서 양국 군대가 충돌했으며, 945년에는 석중귀가 직접 군대를 이끌고 출정하여 요나라의 두 번째 침공에 맞서 싸웠다. 947년, 요나라 황제 야율덕광(태종)이 직접 대군을 이끌고 세 번째 원정을 단행하자, 후진의 대장 두중위가 요나라에 항복하면서 후진의 주력군은 요양에서 격파되었다. 요나라군은 저항 없이 수도 개봉부를 함락시켰고, 석중귀를 사로잡아 요나라로 압송하면서 후진은 건국 11년 만에 멸망하였다.[25]

요나라 태종은 후진을 멸망시키고 연운 16주 이남의 화북 지역까지 지배하려 했으나, 요나라 내부의 반발과 "타초곡기(打草穀騎)"라 불린 약탈 부대에 대한 한족의 격렬한 저항에 부딪혀 947년 4월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25] 요나라는 후진을 정복한 후 중국의 오행 사상에 따라 자신들의 왕조 속성을 금(金)의 후진을 계승하는 수(水)로 정하고[7], 국호를 공식적으로 "대요(大遼)"로 변경했다.

후진이 멸망할 당시, 하동절도사 유지원은 석중귀 정권에서 소외되었기에 별다른 저항 없이 사태를 관망했다.[10] 그는 요나라 군대가 북쪽으로 철수한 후, 947년 2월 진양에서 황제에 올라 국호를 '(漢)'으로 정하고 새로운 왕조를 열었다.[26][12]

3. 역대 황제

후진의 황제는 고조 석경당과 출제 석중귀 두 명이다.

석경당은 사타족 출신의 무장으로, 후당개국공신이자 명종 이사원의 사위였다. 명종 사후 말제 이종가와의 관계가 악화되자, 936년 북쪽의 거란(요나라)에 군사 지원을 요청하고 후당반란을 일으켜 후진을 건국했다. 그는 거란의 도움을 받는 대가로 연운십육주라는 전략적 요충지를 요나라에 넘겨주고 매년 막대한 양의 비단을 조공으로 바치기로 약속했다. 이는 이후 송나라 대까지 중국 왕조들의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

942년 석경당이 사망한 후, 그의 조카인 석중귀가 중신 경연광에 의해 황제로 추대되었다. 석중귀는 석경당과 달리 요나라에 대해 강경한 자세를 취했으나, 이는 요나라의 분노를 사게 되었다. 결국 947년, 요나라 태종의 대대적인 침공으로 수도 개봉부가 함락되었고, 석중귀는 요나라에 포로로 잡혀가면서 후진은 건국 11년 만에 멸망했다.

3. 1. 후진의 역대 황제

wikitext

'''후진 황제'''
대수묘호시호재위 기간연호
1대고조(高祖)(없음)석경당(石敬瑭)936년 ~ 942년天福 (천복) 936년 ~ 942년
2대(없음)출제(出帝)석중귀(石重貴)942년 ~ 947년天福 (천복) 942년 ~ 944년
開運 (개운) 944년 ~ 947년


3. 2. 연호

wikitext

연호연도비고
1천복936년 - 943년후에 후한의 고조 유지원이 부활시켰다[28]。(-948년
2개운944년 - 946년


4. 외교 관계

후진의 건국자 석경당후당 말제 이종가와의 불화 끝에 936년 진양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그는 후당 토벌군의 공격으로 위기에 몰리자 북쪽의 거란에 원군을 요청했다.[17] 거란의 야율요골(요 태종)은 군대를 보내 후당군을 격파했고, 같은 해 11월 석경당을 황제로 옹립하여 후진 건국을 도왔다.[9][15]

거란의 도움은 후진 건국에 필수적이었으나, 이는 큰 대가를 치러야 했다. 석경당은 원군 파병의 대가로 거란에게 연운 16주로 불리는 만리장성 이남의 16개 주를 할양하고,[18][19] 매년 비단 30만 필을 세폐로 거란에 바치기로 약속했다. 또한, 석경당은 자신보다 11살 어린 야율요골에게 아버지의 예(신종의 예)를 취하며 스스로를 신하로 낮추었다.[20] 이러한 굴욕적인 외교 정책 때문에 후진은 종종 요나라의 꼭두각시 정권으로 평가받는다.[13] 석경당의 저자세 외교는 국내 절도사들의 반감을 사기도 했다.[13]

942년 석경당이 사망하자, 그의 조카이자 양자인 석중귀요나라와 상의 없이 제위에 올랐다.[23] 석중귀 정권은 재상 경연광의 주도로 요나라에 대한 강경 노선을 취하며 세폐 납부를 중단하는 등 기존의 굴욕적인 외교 관계에서 벗어나려 시도했다. 이는 요나라의 분노를 사 944년945년 두 차례에 걸친 요나라의 침공을 불렀다.[24]

결국 946년 11월, 요나라 태종 야율요골이 직접 대군을 이끌고 세 번째 침공을 감행했다. 후진의 장수 두중위가 요나라에 항복하면서 후진군은 와해되었고, 947년 요나라 군대는 수도 개봉부를 함락시켰다. 석중귀는 요나라로 끌려가고 후진은 건국 11년 만에 멸망했다.[25]

요나라는 후진을 정복한 후, 중국의 오행 사상에 따라 후진의 금(金) 속성을 계승하여 수(水)를 왕조의 상징으로 삼았다.[7] 또한 이때 국호를 공식적으로 '대요(大遼)'로 변경했다.

5. 평가

후진은 오대 십국 시대의 왕조 중 하나로, 후당의 하동 절도사였던 석경당거란의 군사적 지원을 받아 건국되었다[17][9]。 이러한 건국 과정은 후진 정권의 성격과 이후 역사 전개에 큰 영향을 미쳤다.

가장 큰 문제점은 건국의 대가로 거란(요나라)에게 연운 16주를 할양하고 매년 30만 필을 세폐로 바치며 신하의 예를 갖춘 점이다[20]。 이는 만리장성 이남의 중요 방어 거점을 넘겨준 것으로, 이후 중원 왕조들이 북방 민족의 침입에 취약해지는 결과를 초래했으며, 북송 시대까지 지속적인 외교적, 군사적 부담으로 작용했다[19]。 석경당의 이러한 굴욕적인 저자세 외교는 내부적으로도 유력 절도사들의 반감을 사 통치 기반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13]

반면, 내정 면에서는 당나라 귀족 세력 대신 신흥 문관을 등용하고 추밀사를 통해 황제권을 강화하려는 시도가 있었다[13]。 이는 이후 에서 완성되는 황제 중심의 중앙집권 체제의 초기 형태로 평가받기도 한다[13]。 또한, 초기에는 낙양을 수도로 삼았으나[21], 경제적 필요에 따라 후량과 마찬가지로 물류와 재정의 중심지인 개봉으로 천도한 것은 현실적인 정책 결정이었다[13][22]

그러나 고조 사후, 소제가 즉위하여 경연광 등 강경파가 실권을 잡고 대(對)요나라 강경 노선으로 전환하자 요나라의 침공을 초래했고[24], 결국 946년 개봉이 함락되고 황제가 납치되면서 10년 만에 멸망하였다[25]。 후진의 멸망 과정에서 다른 유력 절도사들은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으며, 이는 당시 번진 세력의 할거와 중앙 정부의 통제력 약화를 보여준다[10]。 결국 후진은 외세에 의존하여 건국되고 외세에 의해 멸망한 단명 왕조로, 오대십국 시대의 혼란상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참조

[1] 웹사이트 Wudai Shi http://zh.wikisource[...]
[2]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the Turkic Peoples: Ethnogenesis Ans State Formation in the Medieval and Early Modern Eurasia and the Middle East" Harrassowitz
[3] 간행물 The Notion of Tribe in Medieval China: Ouyang Xiu and the Shatup Dynastic Myth https://repository.u[...]
[4] 학위논문 Historiography and Narratives of the Later Tang (923–936) and Later Jin (936–947) Dynasties in Tenth- to Eleventh century Sources https://edoc.ub.uni-[...] 2014
[5] 서적 Historical Records of the Five Dynastie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4-04-05
[6] 서적 Men of Letters Within the Passes: Guanzhong Literati in Chinese History, 907–1911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7] 간행물 ""Legitimation Discourse and the Theory of the Five Elements in Imperial China." Journal of Song-Yuan Studies 44 (2014): 325–364." https://www.academia[...]
[8] 문서 『旧五代史』では少帝。『新五代史』では出帝。
[9] 문서 愛宕他 (1997)
[10] 문서 愛宕他 (1997)
[11] 문서 愛宕他 (1997)
[12] 문서 愛宕他 (1997)
[13] 문서 愛宕他 (1997)
[14] 문서 愛宕他 (1997)
[15] 문서 愛宕他 (1997)
[16] 문서 愛宕他 (1997)
[17] 문서 愛宕他 (1997)
[18] 문서 愛宕他 (1997)
[19] 문서 周藤、中嶋 (2004)
[20] 문서 愛宕他 (1997)
[21] 문서 愛宕他 (1997)
[22] 문서 愛宕他 (1997)
[23] 문서 愛宕他 (1997)
[24] 문서 愛宕他 (1997)
[25] 문서 愛宕他 (1997)
[26] 문서 愛宕他 (1997)
[27] 문서 愛宕他 (1997)
[28] 문서 愛宕他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